자세히 보기

샌드박스와 크리에이터들의
새로운 소식을 전합니다.

news_slide01
보도자료

'예능 대부' 이경규, 샌드박스와 손잡고 'RE경규가 간다' 전격 출연… '이경규가 간다', 20년 만의 화려한 부활

KakaoTalk_20221201_153542551.jpg

 

'이경규가 간다'가 20년 만에 유튜브로 부활한다.

 

17일 샌드박스네트워크(대표 이필성)는 "오늘 오후 자사 유튜브 채널 <흥마늘 스튜디오>를 통해 'RE경규가 간다' 티저 영상이 공개된다"고 밝혔다.

 

'RE경규가 간다'는 2002년, 2006년 월드컵 특집으로 큰 사랑을 받은 이경규의 대표 프로그램 '이경규가 간다'를 20년 만에 유튜브로 소환한 웹예능이다. 2022 카타르 월드컵을 앞두고 화려하게 부활하는 동시에, 예능 대부 이경규의 유튜브 첫 데뷔작으로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17일 공개되는 'RE경규가 간다' 티저 영상에서는 이경규의 유튜브 데뷔 입성기가 그려진다. 이경규는 제작진과의 사전 인터뷰를 통해 자타공인 '월드컵 덕후'의 면모를 제대로 선보였다는 후문이다. 

 

이후 'RE경규가 간다'에는 181만 유튜버 오킹이 이경규의 카타르 현지 가이드이자 유튜브 선배로 합류해 신선한 시너지를 발휘할 예정이다. 또한 예능 대부 이경규의 화려한 인맥과 내공이 돋보이는 스타 선수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생생한 월드컵 현장을 소개할 전망이다.

 

한편, 20년 만에 새롭게 부활한 'RE경규가 간다'는 17일 오후 6시 유튜브 채널 <흥마늘 스튜디오>를 통해 첫 공개된다.

 

2022-11-17
news_slide01
보도자료

“백종원 이사장과 지역 인재 양성 협력” 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와 상호 교류 협약 체결

1002808_376725_5636.png

 

샌드박스네트워크가 백종원 예덕학원 이사장과 함께 충남 지역 인재 양성에 나선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대표 이필성)는 7일 충청남도 예산시에 소재한 학교법인 예덕학원(이사장 백종원) 소속 특성화고인 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교장 김경수, 이하 예산예화여고)와 함께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교류 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7일 샌드박스네트워크에서 개최된 협약식에는 샌드박스네트워크 최고 에반젤리스트이자 공동 창립자인 나희선(도티)과 백종원 학교법인 예덕학원 이사장, 김경수 예산예화예고 교장 등이 참석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예산예화여고와 함께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차원의 협력을 전개한다. ▲교육, 연구 등 학술 정보 교류는 물론 샌드박스네트워크가 강점을 보유한 ▲영상 관련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게 된다.

또한 ▲예산예화여고 특성화를 위한 자문 및 특강을 진행하는 한편 ▲예산예화여고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샌드박스네트워크 현장실습과 취업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예산 지역 인새양성은 물론 예산예화여고를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해 샌드박스네트워크 관계자는 “백종원 예덕학원 이사장과 함께 예산예화여고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예산 지역 인재 양성에 협력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다양한 분야의 주요 크리에이터 450여 팀이 소속돼 있는 국내 대표 MCN으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지역 인재 양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도티, 유병재, 조나단, 침착맨, 슈카, 민쩌미 다양한 분야의 주요 크리에이터 450 팀이 소속해있는 국내 대표 MCN 기업이다. 또한 올해 초 NFT 프로젝트 메타 토이 드래곤즈(Meta toy DragonZ, MTDZ)를 론칭하고 지난 9월에는 국내 최초의 기업 대상(B2B) 메타버스 원스톱(One-stop) 서비스 ‘샌드박스네트워크 메타버스 스튜디오(SANDBOX Metaverse Studio)’를 론칭하는 등 웹3(Web 3) 영역으로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확장, MCN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2022-11-08
news_slide01
보도자료

빅데이터로 살펴본 2023년 뉴미디어 트렌드 발표! 『뉴미디어 트렌드 2023』 출간

 

뉴미디어트렌드.jpg

 

유튜브 빅데이터를 토대로 전망한 2023년 ‘엔데믹 시대’ 뉴미디어 트렌드는 어떻게 흘러갈까? 가장 방대한 규모로 유튜브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는 샌드박스네트워크(대표 이필성)가 5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새로운 뉴미디어 트렌드를 발표했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는 ‘뉴미디어’와 ‘콘텐츠’를 중심으로 다가오는 엔데믹 시대 주목해야 할 사회문화 현상들을 짚어내고 앞으로 전개될 트렌드의 변화를 거시적으로 예측한 『뉴미디어 트렌드 2023』를 출간한다고 17일 밝혔다.

도티, 유병재 등 450여 팀의 크리에이터가 소속돼 있는 국내 최대 다중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한 양의 유튜브 데이터를 분석하는 ‘샌드박스네트워크 데이터랩(SANDBOX Data Lab, 이하 데이터랩)’이 부설돼 있다.

데이터랩은 매일 유튜브에 업로드되는 5만여 개의 콘텐츠와 상위 2만여 개의 유튜브 채널 데이터를 분석한다. 또한 유튜브 공식 파트너사와 공유하는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생성되는 일일 10기가바이트(GB) 가량의 채널 내부 데이터를 독점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그간 수집된 뉴미디어 빅데이터를 데이터랩을 통해 유의미한 지표로 가공해 거시적으로 트렌드를 분석하고 창작자 고충 해결을 위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왔다.

이번에 출간한 『뉴미디어 트렌드 2023』은 이 같은 인사이트를 집약시켜 2023년 뉴미디어 트렌드를 다섯 가지의 주요 키워드로 추려 제시, 이를 통해 독자들이 각 주제들을 밀도 있게 살펴보며 현상 이면에 깔린 변화의 맥락을 읽어낼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했다.

데이터랩은 『뉴미디어 트렌드 2023』를 통해 2023년 뉴미디어 분야에서 사회문화적 흐름을 주도할 다섯 가지 키워드로 ▲크리에이티브 빅웨이브 ▲하이퍼리얼리즘의 시대 ▲리본세대 ▲뉴미디어와 패션 산업 ▲주인공들의 성 역할 변천사 등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1인 미디어’가 아닌 ‘1인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크리에이터 산업의 변화를 살펴 보고, 화려한 삶을 과시하는 것이 일상이 된 시대에서 대두되는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의 의미를 짚어본다.

또한 새로운 소비 권력으로 떠오른 5060을 지칭하는 ‘리본세대’의 탄생 배경과 이들의 라이프스타일, 니즈를 고찰했다. 아울러 대중의 욕망이 가장 빠르게 반영되는 뉴미디어와 패션 산업이 만나 서로 윈윈하며 어떻게 시너지를 일으키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는 물론 콘텐츠, 마케팅, 리더십, 정치 등 모든 곳에서 중요해지고 있는 젠더 감수성(Gender Sensitivity)이 성 구분을 넘어선 가치 지향을 어떤 식으로 담아내고 있을지를 진단해 본다.

아울러 신규 창작자들이 콘텐츠 시장으로 대거 영입되면서 어떤 변화와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지 함께 담았다. 『뉴미디어 트렌드 2023』는 이와 함께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유튜브 채널 100개를 선정하고, 뉴미디어를 관통하는 빅트렌드가 무엇인지를 구독자 유형과 조회수 규모, 주요 시청자 성별, 구독자 분포도 등을 통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

샌드박스네트워크 콘텐츠 테크 총괄 노성산 디렉터는 “아직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그 욕망과 니즈들이 다시 경기가 활성화되면 가장 먼저 폭발하며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메가트렌드의 출발점이 되는 뉴미디어와 콘텐츠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랩의 다양한 인사이트를 통해, 많은 독자들께서 변화의 흐름을 누구보다 먼저 읽어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2-10-17

RECENT NEWS

TOP